범어사

 

[혼자 떠남]

발발 떨며 나갔다가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투덜대며 들어오기.


그럴 처지는 아니지만

(그러니까 일탈의 유혹으로 오래 시달렸던 거지.)

하루만 가출하기로.

(아버님도 하루 정도야 괜찮으실 것이고.)

 

 

AA17.jpg

 


오밤중에 해변을 걸었다.

한 걸음 더 나아가면 (장 폴 벨몽드나 입음직한) 연두색 바지가 젖을 정도의 경계를 따라.


갈기를 세우고 달려들어도

더 다가가지 않으면 발끝도 적시지 못한다.

날 좀 울게 해줄 수 없니 그러면서도

결정적인 순간에는 피하게 되더라는.

 

 

AA15[1].jpg

 

AA16.jpg

 


대실료 15,000원, 숙박료 23,000원 짜리라도 잘 고르면 그저 그만한 것 걸릴 텐데

뭐가 다 끈적거리는 것 같아 단잠자지 못했다.


아침, 새 날이니 불쾌를 끌고 갈 수야 없지

마침 좋은 만남으로 상쾌함을 회복했다.

 

 

A15[2].jpg

 

 

쓸데없이 나이를 먹었으니 내가 형인 셈이지만

형 노릇 하기가 미안한 잘난 아우가 부인을 데리고 나왔다.

내외가 하루 종일 날 위한다고 날품 팔듯 수고했다.


동래 범어사를 보자고 갔는데

마침 초하루라 사람들이 많구나.


입구의 등운곡(籐雲谷)은 겨울이라 볼 게 없었다.

등꽃이 자운(紫雲)으로 골짜기를 덮을 때는 “아휴 정말...”이겠으나

해마다 큰 소나무(長松) 60여 그루가 덩굴의 목조르기에 죽어나간다.


일대의 소나무는 일부러 그렇게 가꾸거나 분재 다루듯 하지 않았는데도

모양이 등(燈) 같다.

사리탑 같다 하든지, 솜사탕 같다 할는지

보기 나름이니까.

 

 

AA11[2].jpg

 


일주문. 

결구(結構) 없이 기둥을 세운 건축물이다.

출입하는 공간이 셋으로 나누어졌다.

(몰골은 그래도 속은 꽉 찬 문화재청장님의 안목 덕에)

뒤늦게 문화재로 지정이 되었다.

 

 

AA6[6].jpg

 


아하, 이런 길이 있구나.

담은 문을 내기 위하여 있는 것.

그러면 담이 먼저였을까 문이 먼저였을까?

막는다기보다는 구별하기 위해서 담이 생기게 되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교통이 없이는 존재할 수 없으니까 문도 내야 했을 것이다.

 

 

AA14[1].jpg

 


산문(山門).  그도 고운 이름이다.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불이문.

자하문은 들어가는 문인가 나가는 문인가.

 

 

AA7[3].jpg

 


담 따라 걷는 길.

통과(通過) 없이 병행(竝行)해도 괜찮다.

배척당했다는 느낌은 없다.

고놈 보게, 작은 새(이름?)가 앞에서 까불대다가 잠시 쉬고 있다.

 

AA8[3].jpg

 

                  AA9[3].jpg

 


탑, 보물, 빠져나가지 못한 바람, 사람들...

일일이 인사할 수 없어서 그럼...

 

 

    AA10[2].jpg   AA13[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