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바람 소리 들리나요?” 해서 얘긴데,

난 바람을 보지.

바람이 춤을 춘다면 “우와~”하면서

춤바람이라면 “에비” 할 것 없다.

난 몸치거든.

꽃 사이를 헤쳐 가는 나비의 팔랑거림이 눈부시다.

(살랑거리는 봄바람을 거위걸음으로 따라잡을 수 없구나.)

그런데... ‘舞風橋(무풍교)’라는 춤사위는 평범하네?

솔숲이 더 맵씨나는 걸.

 

 

                       AA9[4].jpg

 


흐음~  “너희가 돌이켜 어린 아이 같이 되지 아니하면...”이라고 하셨다만,

어린 아이 같으셨다는 종정 스님의 글씨는

어린 아이 글씨라고 아우가 중얼중얼.

(기소되지 않기를 바라며.)

 

 

AA10[3].jpg

 

 

일주문의 편액(扁額)은 으으, 석파(石坡)! 대원군이 썼고 

주련(柱聯)은 해강(海岡) 김규진(金圭鎭)의 솜씨.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불보 사찰이니, 하모...

‘佛之宗刹 國之大刹이라 하겠네.

“갈 之 자를 우예 저리 썼노?”라고 중얼중얼.

(없어도 뜻은 통하거든.)

 

 

AA12[1].jpg

 

        AA4[4].jpg    AA5[5].jpg

 

 

기념품 상점으로 쓰는 건물에 걸린 편액 ‘萬歲殿(만세전)’은 무명 6세 신동이 썼다는데

참 어지럽게 맴돈다.

 

그런데...  저 바다는 별로 험해 보이지 않네?

그래도 배를 타야  건너겠지?

 

 

AA6[7].jpg

 


사람 참 많구나.

왜 산문 안에서도 왕재수 얼굴과 싸가지 없는 눈빛과 마주쳐야 하는지 억울하거든,

너나 잘 하세요~

화안(花顔)은 딴 데 가서 찾고

당신은 화안(和顔)으로.


아직도 그런 데 있겠지...


      닫힌 사립에

      꽃잎이 떨리노니


      구름에 쌓인 집이

      물소리도 스미노라


          -조지훈, ‘산방’-


 

거기 선원(禪院)이 있는데, 어른 스님께 여쭸다.

- 참선 공부하는데 가장 어려운 게 무엇입니까?

- 공부가 안되는 것이죠.

(아휴, 지당한 말씀.)

 


                                AA14[2].jpg

 

 

눈이 달렸다고 뭘 보나, 본다고 뭘 아나,

그런 눈에도 그건 보물이다.  어쩌면 저렇게 지었을까...

건물의 사방에 걸린 편액이 동쪽에는 대웅전, 서쪽에는 大方廣殿(대방광전), 남쪽에는 金剛戒壇(금강계단),

북쪽에는 寂滅寶宮(적멸보궁)이라 했다.

 

 

   AA7[4].jpg    AA13[3].jpg

 


뭘 모르니 이렇게 떠들었다. (무식하면 용감하니까.)

오를 만큼 올랐어도 항룡유회(亢龍有悔)라는데

물 마르면 곧 죽을 우제어(牛蹄魚)는 뭘 모르니 후회도 없다.

그냥 분위기에 압도된 것을 자존심과 결부시켜서 세차게 고개 흔든 줄 알 것이다.

 

 

                       AA3[4].jpg

 

 

                              AA15[2].jpg

 

 

“남은 설움 없습니다.” 하고서

입 좀 다물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