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죽고서 네가 산다면
내가 죽고서 네가 산다면!
네가 죽고서 내가 산다면?
내뇨 네뇨, 상하좌우가 바뀌어 나오기도 하고
그 촌스러운 부호는 왜 붙여서 헷갈리게 하는지...
(에고, 주워 챙기는 게 다 그렇더라고.)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혼자 있기는 어렵지만
혼자라서 좋은 날이다.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AA7[7].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80_2006-03-09/AA7%5B7%5D.jpg)
봄날이라면 혼자 견디기가 상대적으로 쉬울까?
아지랑이 속으로라면, 꽃구름 위로라면
혼자 걸어가도 되겠다.
![AA4[8].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80_2006-03-09/AA4%5B8%5D.jpg)
그런데...
十五越溪女 시내 건너 열다섯 처녀아이는
羞人無語別 부끄럽다 말 않고 헤어지더니
歸來掩重門 돌아와서 문 걸고 흐느끼누나
泣向梨花月 배꽃에 달그림자 어른거림에
- 林白湖, ‘閨怨詩’ -
어떻게 해줄 수가 없네?
(소녀야 네가 뭘 알아?)
![AA3[9].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80_2006-03-09/AA3%5B9%5D.jpg)
그 옛날 부부 사이에 정이라고는 있을 것 같지도 않았는데
(하마 그랬으랴, “에헴~”하는 사회 분위기 때문에 ‘아닌 듯’한 거지.)
살 붙인 시간 길지 않아도 마음은 그렇지 않았을 게고...
급히 알린다고 했더라도 뭍길 천리, 물길 천리라 한 달이 걸렸다지.
부인의 죽음을 전해들은 추사 김정희는 ‘配所輓妻喪’(배소만처상)이란 시를 지었다.
那將月老訟冥司 어떻게 명왕께 상소하게 된다면
來世夫妻易地爲 다음 세상에선 우리 서로 바꿔 태어나
我死君生千里外 천리 밖에 나 죽고 당신이 살아남아
使君知我此心悲 이 슬픔을 그대가 알게 하려오

고경명이 썼다고 전해지는 시는 또 이렇다.
보거든 슬믜거나 못 보거든 잇치거나
네 나지 말거나 내 너를 모로거나
찰하리 내 몬져 치여서 너 그리게 하리라
“나 지금 많이 슬퍼”라고 말하지 않아도 되고,
그 대신 내가 당하는 게 감사하지
“그대도 한번 겪어봐라” 할 것도 아니다.
                        ![AA5[10].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80_2006-03-09/AA5%5B10%5D.jpg)
![AA6[11].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80_2006-03-09/AA6%5B11%5D.jpg)
그때 소내(牛川)나루에 남겨 놓고 떠날 적에
- 마음으로는 다 건넌 후에 손 한번 흔들고
마재(馬峴) 넘어가며 점 같은 데 향하여 “어여 들어가” 소리 지르자고 했지 -
상앗대로 밀 때는 슥슥 잘 나아가더니
강심에 이르니 노를 저어도 헤쳐 나가지 못하고
어어~ 하다가 흘러가고 말았다.
![AA2[9].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80_2006-03-09/AA2%5B9%5D.jpg)
(팔당호에 수몰되기 전에 마재 쪽에서 바라본 소내 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