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 꽃들 주인 떠난 땅에서
{저녁에 마땅히 할 일도 없고 해서 타자 연습하는 셈 치고 일없이 길게 된 글이니
읽을거리도 아니고... 그냥 제 잡기록입니다.}
![AA1[13].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71_2006-03-13/AA1%5B13%5D.jpg)
(사진은 필자가 아니고 수채화를 그리고 있는 H. H.)
해마다 종묘상이나 원예 클럽에서 내게 보내오는 목록이나 동호인 잡지가 백여 권은 족히 될 것이다.
그게 그냥 선전물이 아니라 백 쪽이 넘는 내용의 대부분이 꽃이나 채소 사진들이라서
웬만한 사진 잡지나 여인들을 드러내는 그림책보다 훨씬 아름답고 재미있다.
그러면 그들은 비싼 인쇄비와 송료가 드는 것들을 왜 내게 보낼까?
특별 관리하는 중요한 고객이기 때문이다.
왜 나를 우대하는가? 매출액을 올려주기 때문이다.
농장주? 아니다.
그렇지만, 뒤란에 작은 화단이나 텃밭을 가꾸는 보통 주택 소유자보다는 아무래도 더 많은 땅을 가졌거나
별날 정도의 광적 원예 취미를 지닌 자로 생각해주는 것 같다.
진상을 밝히자면(무슨 흑막이나 부도덕한 거짓말 시리즈가 개입되었다는 뜻은 아닌데),
나는 백 평 넘는 재배 면적을 가져본 적이 없다.
(모종을 내어 나눠주기도 하고, 임야에 들꽃 씨를 뿌린 적도 있고, 공동 경작하는 채전이 있지만,
그런 것들은 내가 소유하고 직접 관리하는 땅이 아니니까 제외하고 하는 얘기.)
        
   
   ![AA5[16].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71_2006-03-13/AA5%5B16%5D.jpg)
그러면, 종자 구입에 얼마나 많이 투자하기에?
취미 원예 정도로 구입하는 꽃씨는 봉투 당 2불 전후이니까,
백 개-꽃 60여 종, 채소 40여 종-를 주문하면 200 불 정도 소요된다.
구근으로 심는 식물에 200 불 정도 별도로 들어간다.
(모종, 버섯 종균, 등 구입에 또 좀...)
사실 이만큼만 해도 2,000 평쯤을 꽃과 필수 채소로 도배하기에 남는 분량이다.
           
    ![AA16[2].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71_2006-03-13/AA16%5B2%5D.jpg)
(나는 주로 Park's 나 Walter Stoke's 에서 구입했다.)
앞서 밝혔듯이 화초 카탈로그를 펴볼 때부터 이미 흥분상태인데,
배달된 꽃씨 봉투를 흔들면서 사각사각 소리를 들을 때쯤 되면 황홀의 극치.
다 심냐고? 아니.
무슨 신품종 실험 재배하듯이 모종 두어 개 낼 정도이니까
뜯었지만 남는 씨들이 많고,
개봉조차 안 된 봉투들도 해마다 남아돈다.
아내는?
봐준다.
그게 유일한-다른 ‘유일한’들이 또 있지만- 취미라는데, 어쩌겠는가?
(속으로는 “다 심지도 않을 것, 잘 가꾸지도 않을 것, 거두지도 못할 것... 돈은 돈대로 들고...” 할 것이다.)
          
    ![AA8[10].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71_2006-03-13/AA8%5B10%5D.jpg)
올봄은 한국에 나와 있으니
봄볕 쬐며 흙 만지는 재미는 놓쳤다.
보는 기쁨이나 누려야지.
어느 아파트 단지라도 봄철에 진달래, 철쭉, 목련은 기본, 가을에 단풍, 은행나무, 감나무도 필수,
화단도 철따라 갈아 심어 놓으니
아기자기하고 참 보기 좋은데,
국광, 홍옥, 인도, 등 다 사라지고 부사(Fuji)가 평정했듯이
어디를 가도 다 같은 모양,
게다가 인공 조형의 노력만큼이나 자연미는 떨어진다.
![AA1[14].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71_2006-03-13/AA1%5B14%5D.jpg)
캐나다 살 적 얘기.
워낙 겨울이 기니까 남부 온타리오라도 오월 말이나 되어야 튤립이 핀다.
향기는 별로이지만, 파스텔 톤의 색깔 변조는 얼마나 될는지 헤아릴 수 없을 정도.
심었다 하면 단색 튤립만 학교 운동장 하나는 차지할 만큼 깔아놓으니
우와~ 그 규모라는 게...
그렇게 땅에서 피기 전에 ‘forcing bulb‘라 해서
억지로 집안에서 먼저 피게 할 수도 있다.
1981년 겨울, 마침 오두막집에 wine cellar로 쓰는 지하실이 있어서
나는 각종 튤립, 히아신스, 수선, 아네모네, 아마릴리스,... 등 백여 분을 만들었고,
12월부터 2월까지 꽃이 피는 대로 집집마다 한 화분씩 돌렸다.
그런데... 화분을 받는 순서, 어떤 꽃이 걸리는가에 사람들이 신경을 쓰게 되고,
그러다보니 애는 썼는데 기쁨의 전령(herald)이 되기는커녕 불화만 조장하게 되었다.
그 후로 내 꽃밭에 와서 얼굴에 철판 깔고 꽃을 꺾어가는 이들은 모른 척, 못 본 척 넘어가고,
찾아다니며 꽃을 나누어 주는 일은 그만 두었다.
       
   
   ![AA14[5].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71_2006-03-13/AA14%5B5%5D.jpg)
아내가 혼자 지키고 있는 집 뜰에는 명자나무, 수수꽃다리, 꽃배(Bradford Pear),
빨간 밥알(Oklahoma Redbud) 꽃들이 피었다가 지고 있다고 그런다.
너무 더운 데라 튤립 등은 잘 되지 않는다.
![AA18[1].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71_2006-03-13/AA18%5B1%5D.jpg)
꽃샘추위라나 그런 날 눈물 질질 흘리며 다니면서도
“When it's springtime in the Rockies I am coming back to you...
Once again I'll say I love you While the birds sing all the day...”
라는 노래를 흥얼거리면서
Spring Garden Avenue라는 거리에 있는 내 옛집에 피던 튤립을 떠올린다.
   
  
  
  ![AA17[3].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71_2006-03-13/AA17%5B3%5D.jpg)
또... 심지 않고 내버려둔 꽃씨들...
너무 미안하다.
이제 어떻게 해줄 수가 없구나.
![AA6[15].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871_2006-03-13/AA6%5B15%5D.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