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련 진지 언제라고
집에 돌아오면
오늘 어디가 얼마나 아팠는가 하는 호소가 기다리고 있다.
어떻게 해드릴 수도 없고
뭐라 드릴 말씀도 없고
(“벌써 폐차 처분할 것이 새 차 같을 수 있겠어요...” 그럴 수 없는 거지?)
어떡한다?
마땅한 화제도 없고...
꾀를 내었다.
- 아버님, 그때, 그러니까 주검이 널려 있는 산 속을 헤맬 때 맡으셨다는 향기,
그게 무슨 꽃에서 났는지 아세요?
- 하얀 꽃이었어. 이름은 몰라. 아, 그 냄새 정말 대단하더라.
- 그때가 몇 월이었는지...
- 여름이었을 거라, 아냐 봄인가... 잎들이 이미 우거졌던데...
- 흠, 1951년 오월 말이나 유월 초쯤 됐겠군. 그럼 산목련일 겁니다.
- 오라, 그게 산목련이라...
그렇게 얘기가 좀 이어졌다.
난 시인이 아니지만
시 써본 적은 없지만
읽기는 좋아하거든.
(그렇잖아, 축구선수라야 축구를 좋아하는 건 아니니까.)
그냥 필경(筆耕)이 되어 남의 글이나 옮겨 적는데
시인들의 젊음이 나를 늘 부끄럽게 한다고.
(그냥 아름다움만 노래하지 교훈은 담지 말았으면 좋겠다.)
아래 시 ‘목련이 진들’은 박용주가 중학생 때 전남대학교 백일장에서 수상한 것이다.
애들이 정말...
마른 오징언지 쉰 걸렌지 냄새나는 할아버지는 어쩌란 말이냐?
목련이 지는 것을 슬퍼하지 말자
피었다 지는 것이 목련뿐이랴
기쁨으로 피어나 눈물로 지는 것이
어디 목련뿐이랴
우리네 오월에는 목련보다
더 희고 정갈한 순백의 영혼들이
꽃잎처럼 떨어졌던 것을
해마다 오월은 다시 오고
겨우내 얼어붙었던 영혼들이
휜 빛 꽃잎이 되어
우리네 가슴 속에 또 하나의
목련을 피우는 것을
그것은
기쁨처럼 환한 아침을 열던
설레임의 꽃이 아니요
오월의 슬픈 함성으로
한닢 한닢 떨어져
우리들의 가슴에 아픔으로 피어나는
순결한 꽃인 것을
눈부신 휜 빛으로 다시 피어
살아있는 사람을 부끄럽게 하고
마냥 푸른 하늘도 눈물짓는
우리들 오월의 꽃이
아직도 애처러운 눈빛을 하는데
한낱 목련이 진들
무에 그리 슬프랴
그리고 도종환 너
그만해도 나이 꽤 됐다만 ...
그가 나무에 기대앉아 울고 있나 보다
그래서 뜰의 목련나무들이
세차게 이파리를 흔들고 있나 보다
-‘목련나무’-
그래, 뭐 나도 운다
그런데...
아름답던 시절은 짧고
살아가야 할 날들만 길고 멉니다.
꽃 한 송이 사랑하려거든 그대여
생성과 소멸, 존재와 부재까지 사랑해야 합니다.
아름다움만 사랑하지 말고 아름다움 지고 난 뒤의
정적까지 사랑해야 합니다.
올해도 꽃 피는가 싶더니 꽃이 지고 있습니다.
-‘꽃 피는가 싶더니 꽃이 지고 있습니다’-
아, 그런 게 김새게 한다니까.
그냥 ‘~습니다’ 그러지
‘~해야 합니다’ 그러지 말라니까.
(해본 소리다.)
그래, 사랑이 가자는 대로 가지 못했다.
순한 사람이라야
제 주장 펴지 않는 사람이라야
사랑하겠더라.
사랑하는 건
사랑받는 것.
끌려가는 것.
이제야 어쩌랴.
잎들 돋는 것 보면서
잎도 예쁘다고
갈 거니까 간 거라고
그래도 서운한 건 서운한 거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