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해내리라
북국이니 백야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밤 10시인데 이제 놀이 진다.
곧 착륙할 것이다.
공항에서 떠나기 직전에 인사 드렸더니
“아버지는 너무 아파서 곧... 이만 끊는다.” 찰칵.
(어벙벙, 황당.)
그렇다고 여행을 취소할 수도 없고...
(돌아와 보니 입원하셨다.)
{아니 ‘大道無門’님께서 왜 한 비행기를...
(수행원들을 짜드르 데불고 나선 행차신데 같은 호텔, 돌아오는 기편도 같은... 아휴~)
학교 선배에 장로님이라며? 안면 트려다가 경호원 눈알 부라리는 소리가 요란해서 관뒀다.}

여기 왜 왔느냐 하면
물 샘 열둘과 종려 칠십 주로 되겠느냐, 그치지 않는 물로 사막을 적시리라.

구름 따라다니다가 얻은 게 없지만 (삶은 그렇게 실속 없는 사랑이었으나...)
하늘에 구름 펼쳐지듯 우리 꿈은 펼쳐질 것이다.
구름 흩어지듯 꿈도 사라질 거라고?
천하를 적셨는데 어찌 구름이 남아있으리오?

![B10[1].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793_2006-07-01/B10%5B1%5D.jpg)
월드컵으로 모든 언론매체가 도배하는 동안 우리는 녹색 혁명을 꿈꿨다.
동북아의 균형추니 뭐니 할 때에(실력 있어?) 우리는 동북아를 먹여 살리는 일을 시작했다.
사업 비밀이랄 것도 없지만 잡식성 위대한 재벌이 가로채면 안 되니까 자세한 내용은 실릴 수 없는데...
종자 선택과 시험 재배가 끝나면 우리는 수만 ha(일억 평이 넘는다)을 경작하게 될 것이다.
우리가 다 먹어버리겠다는 것이 아니고 스스로 먹여 살릴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In a grand manner.

채소를 먹지 않는 나라의 대통령 궁 안에 이미 비닐하우스를 세웠다.
정부 최고위 가족과 방문자는 청정 채소를 먹기 시작했다.
               ![B11[2].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793_2006-07-01/B11%5B2%5D.jpg)
농사지어본 적이 별로 없는 사람들에게 맡기고 얼마 후에 돌아와 보면 속 터진다.
무슨 수가 있으랴, 농사는 거뎌 참는 게야요.

목축이야 수천 년 두고 이들의 삶의 행태이었지만,
겨울 추위에 영양실조로 죽어나가는 가축이 30%나 된다.
                   
                   
에휴, 이젠 말 타고 돌아다녀야 하는데 영 어설프구나.
                 
마상에서 찍은 사진이라서 흔들렸다.

                        
                        
땀 흘리고 나서 몸보신한다고 염소 한 마리 잡긴 했는데 그게 좀...
            
   
10시 15분쯤 되어 하늘빛이 어떻게 바뀌는가 하면

겨우 시작인데 떠벌린다고?
(담배 끊을 결심을 소문내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