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박일일 여행기 2
‘삼빠꾸 짓고’도 아닌 ‘893’, 그 쓸모없음이라도 생존이 걸려있기에 ‘나와바리’를 사수하려지만
난 뭐 지킬 데가 없다.
운수납자라고 아무데나 떠도는 것도 아니고 탁발이 잘 받는 동네가 따로 있을 터이나
난 도무지 구획 정리된 세상에서 살기로는 부적격자이다.
{‘세계화’되어 태어났다는 뜻이 아니고 ‘벌이의 터전’이라는 개념이 뇌에 주입되지 않았다는 뜻.}
그래도 가면 대접받는 동네가 있다.
거기가 다 내 집도 아니고
건달들이 알아서 기는 것도 아니고
에이 뭐 누가 알아보기나 하나
그런데 왜냐하면
끔찍이 위해주는(惑愛) 이가 있기 때문이다.
아우라고 하자고 그래놓고-그런 이들이 둘이 있음- 도무지 형 노릇을 하지 못하기에
하대할 수 없는 이군.
{힘내어 ‘군’이라 해봤지만 ‘님’이라고 부르는 이들이 수천 명이다.}
‘이군의 심정’은...
     ![7021502[1].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681_2007-02-15/7021502%5B1%5D.jpg)
그러니까 바로 아우님 때문에 내가 대접받는 것이고
호가호위(狐假虎威)로 우쭐대는 행차가 일년에 두어 차례 이어지게 되었다는 얘기가 길어졌다.
때마다 접대해주시는 분들도 있고...
사진 구하지 못한 분들도 더러 있지만...
     
   
     
     
사무장의 농간으로 큰 손해를 보고 나왔지만 이삭처럼 파는 우물마다 물이 솟아오르도록 복 받은 Dr. Kim
치매 노모를 모시고 있고 부인과 자녀들은 몇 년째 유학중인데도 병원 두 개가 잘만 돌아간다.
 
그런데, 그 동네는 가는 집마다 그릇이 많더라, 왜 그런지...
      
   
그릇이라고 다 같은 그릇이 아니고
장인의 솜씨와 먹은 나이에 따라 가히 ‘보물’이랄 것들도 있다.
     
내게 호의를 베푼 분에게 불이익이 돌아갈까 봐 다 밝힐 수는 없지만...
수천 년을 견딘 보물임에도 공공 박물관에 전시되며 보호를 받지 못하고
소장자의 개인 재산으로 굴러다니는 것들이 상당하리라고 미루어 짐작할 뿐이다.
     ![7021517[1].jpg](https://s3-us-west-2.amazonaws.com/mksbal-public/imgs/mksbal_681_2007-02-15/7021517%5B1%5D.jpg)
가지산 넘어가다가 날은 저물고 배는 고파 석남사 아래 청국장 집에 들렸는데
경상도에서 싼값에 괜찮은 상 받기가 쉽지 않지만 시장이 반찬이라 그런지 잘 먹었다.
     
저게 다 청국장이라니까
에이 이건 뭐람, 아침상에 볶은 곡식, 현미 떡 구운 것, 은행알, 두부, 김, 고구마, 야콘, 사과, 곶감...
나 혼자 먹으라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어휴~’이다.
     
그 외 먹은 것: 남산 앞에서 우리밀 칼국수, 황남 빵-아류가 많지만 원조 집에서-
오리구이, “여기는 제 위수지역입니다”라는 분이 값을 치른 일정식.
     
   
하루 몇 시간을 저렇게 앉아 저 일만 하고 계실까
우리 일이라는 게 복잡성의 차이가 있다 뿐이지 다 단순노동직 아닌가
     
여행목적은 신장개업 ‘평사리 가는 길’이라는 식당의 등급평가였는데
주인이 의도적으로 내 일정을 지연시키는 바람에 들리지 못했다.
     
봄 날씨라 하지만 높은 곳에는 홑이불 두께로 눈이 뿌렸고
아무도 무서워하지 않는데 그 자리에서 수백 년 인상을 쓰고 있는 장승에게
어이가 없어지려는 것을 간신히 잡아두며 한숨을 내쉬었다.
     
{여행기 끝이 좀...
있었던 일이라고 다할 것도 아니고 하고 싶은 얘기라도 남겨 두었다가 발효된 후에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