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아 문 열어라

 


‘방콕 이집트’로 머물다가 이래선 안 되지 싶어 밤에 나와 좀 걸었다.

그새 다리에 힘이 떨어진 걸 보니 일년 동안 바깥구경하지 못하신 분을 부축하면서

생각으로라도 “왜 힘 좀 쓰시지 않고...” 했던 게 걸린다.

 

 

7022501.jpg

 


화신(花信)이 예년보다 열흘 이상 빠르다고 하니

한 주일쯤 후에나 외치면 내 호령에 순종하여 개화한 듯 때를 맞추겠으나

움틀 때 나는 비린내 섞인 바람 탓에 마음이 급해졌다.

“꽃아 문 열어라 꽃아 문 열어라.”

에고, 젊었을 적 같지 않아서 목소리에 심후한 내공을 닮지 못하니 들은 척도 안 한다.

무안해져서 “봄이 또 오면 어이하리야” 중얼거리다가

“어이하긴 뭘, 또 사는 거지, (피식)”으로 끝났다.

 

 

7022503.jpg

 


‘또’ 산다는 건 이어진다는 말일까, 새 삶을 받는다는 뜻일까?

조전춘신(早傳春信)과 유자소영(幽姿疎影)으로 사랑 받는 매화를

{잘 모르는 문자 쓰지 말 것을...}

그 늙고 껍질 터진 등걸이 잡아주지 않았다면

그냥 상큼발랄의 귀염 받는 소녀였을 것이다.

“옛 피던 가지에 피엄직도 하다마는”이라 그랬지만

보다 정확히는 ‘옛 등걸의 새 가지’라 해야 할 것이다.

정체성(identity)은 지속 때문에 가능하지만

생명은 단절과 초월이니까.

 

 

7022504[1].jpg

 

 

봄꽃이 백 가지만 되겠는가

그 많은 꽃들 중에서 하필 매화가 받는 가산점수가 터무니없이 높아서

하나 잘 봐주겠다는 마음-사랑이란 그런 건지...-을 뭐라 할 건 아니지만

다른 꽃들에게 미안하다.


나무에 달리는 것이라면 벚꽃, 개나리, 진달래, 살구꽃, 배꽃, 사과꽃...

언 땅 뚫고 나오는 것으로는 크로커스, 튤립, 수선, 히아신스...

 

 

         7022506.jpg  7022508.jpg  7022507.jpg

 

 

서양 꽃이라 좀 그렇다면

달래 냉이 꽃다지 모두 캐보자? 

{모두는 말고.}

 

 

                           7022509.jpg   7022510.jpg

 

 

냉이꽃 채웠던 자리에 자운영 들어서고

나비는 그럼 꿀을 취할 것이고

나비 왔다간 자리에 열림이 있을 것이고

열림이 많은 여름에 나비는 더 바빠지고

그러면 거둠-가슬, 가을-이 따른다.


 

7022512.jpg

 

7022514.jpg

 

  7022515.jpg   7022513.jpg

 

 

들앉음-겨울-이 지겨울 때쯤 덧문을 열고

그래도 갑갑하면

잠깐현기증 무릅쓰고 나오는 것이다.

 

 

7022502.jpg

 


봄은 이렇게 나와서 보는 것이다.

꽃 보듯 님 보며 사랑하게 되고.


그러면 날게 되리.

머물려 매달리는 게 아니고

은하수 다리 놓일 때까지 기다릴 게 아니고

훨훨 날아.


 

7022516.jpg

 

 

 

{삐치진 말게 매화가 어떻다는 게 아니고...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더야 어허야 에 디여라 사랑도 매화로다} 

 

      702250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