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물

 

김기림은 “글쎄 봄은 언제 온다는 전보도 없이 저 차를 타고 도적과 같이 왔구려”라고 그랬다.

(‘봄은 전보도 안 치고’)

한 주일쯤 “나 아직 죽지 않았어.”라는 정치인처럼 가는 겨울이 심통 부리기도 했지만.


하늘은 늦봄인데

바람은 맵도록 차다.

{난 바람맞으면 눈물나, 걷잡을 수 없이.}

그래도 물오른 가지마다 “나 많이 기다렸어요.”라는 표정이다.

 

 

7031106[1].jpg

 


{“잘 났어 당신 아주 잘 났어”로 나오면 할 말이 아니지만}

그게 봄 되어 가지에 물 오른 걸 두고 하는 말이 아니거든.

{울릉도 고로쇠 아니라니까, 알간?}

‘봄물’은 “봄이 되어 얼음과 눈이 녹아 흐르는 찬 물”이라는 뜻이고

드물게는 “봄에 든 큰물(장마, 홍수)”을 가리키기도 한다.

{하긴 절대다수가 막무가내로 밀고 들어오면 의미 추가나 변형도 이루어지니까.}

 

잘 쓰는 사람이 썼다고 다 잘 쓴 것도 아니고

저 보기엔 좋은지 버리지 못한 게 작품집에 버젓이 실리기도 한다.

“누가 그 아니랄까봐, 못 말려 천상병” 풍의 예쁜 실수는

소녀의 손에 묻히고 다닌 (크라운) 잉크 자국 같은 거니까 눈감아주기로.


{그는 ‘봄을 위하여’라는 시에서

“영국의 시인 바이론도/ '겨울이 오면/ 봄이 멀지 않다고'했는데/ 내가 어찌 이 말을 잊으랴?” 그랬는데

이를 두고 “아니 시인이라는 분이 셸리와 바이런을 혼동하다니 정말 숙맥불변(菽麥不辨)이구먼.”

그럴 사람 없다.  ‘구여븐’ 천상병. }

 

 

7031101[1].jpg

 

 

그런데...

봄물보다 깊으니라?  사랑이?


     봄물보다 깊으니라

     갈산(秋山)보다 높으니라

     달보다 빛나리라

     돌보다 굳으리라

     사랑을 뭇너니 잇거든

     이대로만 말하리


      -한용운, ‘사랑’-

 


7031102[1].jpg

 

 

빙하 퇴적물을 싣고 흐르는 로키 산의 물들은 비취색이라 깊어 보이는데

봄물도 연두색이기는 하겠으나 더 깊어야 할 이유?

물이 불기는 했으니까, 또 여간 차야 말이지.

{아니면 말고.}


그런 이 시려서 진저리치게 되는 ‘말씀’ 말고

이젠 다방 레지쯤하고 살짝 바람 쐬는{피는} 촌놈 노래가 좋더라.


     나 찾다가

     텃밭에

     흙 묻은 호미만 있거든

     예쁜 여자랑 손잡고

     섬진강 봄물을 따라

     매화꽃 보러 간 줄 알그라.


      -김용택, ‘봄날’-

 

 

7031104[1].jpg

 

 

나도 나왔다.

아직 꽃도 없고

겨울 거품 꺼지지 않은 채 흘러가는 강물도 옆에 없다마는

저 윤동주 군 같지는 않아서

무작정 외출하여 서성거리는 건 아니고


     봄이 오든 아침, 서울 어느 쪼그만 정거장에서

     희망과 사랑처럼 기차를 기다려


     오늘도 나는 누구를 기다려 정거장 가차운 언덕에서

     서성거릴게다


      -‘사랑스런 추억’ 중-


교회 가기는 너무 억울해서

“어쩌지, 말까...” 하는 중이다.

 

차기는 해도


     바람 속의 봄도

     이제는 맨살로 살랑댄다.


      -구상, ‘봄맞이 춤’ 중-

 

 

7031105[1].jpg

 


눈물 많이 나는 건

안구건조증 때문이고.

 

 

7031103[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