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3편 - 김상옥

 

 

7032701.jpg

 

 

그 왜 박재삼하고 이형기 같은 짝꿍 말이지

먼저 간 사람을 어쩌지 못해


     이름 한번 불러보자

     아아 박재삼!

     이왕 갔으니

     내 자리도 네 가까이 하나 봐다오


고향 사람들, 어릴 적 만난 친구가 그런 건데


동향 시인들 사이에 무슨 존심 대결이나 피 말리는 수상전이 있겠어?

감정을 공유하면서도 표현이 다르고 그럴 수 있는 건데

돌이 뭐라고

돌 두고도 말들이 다르더라고.

 

 

7032702.jpg

 

 

초정(艸丁) 김상옥.

‘시조 시인’이라는 말 그거 참 억울한 거야.

그 정형 안에 가두기가 얼마나 어려운데

그러니까 그게 대단한 기술인데,

시조라고 그러면 괜히 격이 떨어지는 것 같고

미분화된, 그러니까 ‘시인’보다 덜 진화된 이를 두고 앞에 두 자를 덧붙이고

잘 봐주면 ‘필요한 시대착오자’ 정도로 쳐주는데...

난 김상옥 차암 좋더라.

심심하지도 않고 넘치지도 않고

완벽을 일부러 나타내지 않으면서 아주 괜찮은

그가 사랑하던 백자 같더라.

 

 

 7032703.jpg  7032704.jpg

 

 

청마의 ‘바위’를 두고 하는 얘기겠지

불감부동(不感不動)의 시인이니 그러는데

“억 년(億年) 비정(非情)의 함묵(緘默)에/ 안으로 안으로만 채찍질하여” 그랬다마는


그 ‘돌’은 어떠냐고?


     숨쉬지 않는

     잠이 있나요?

     -바로 저런 겁니다.


     잠자지 않는

     꿈이 있나요?

     -바로 저런 겁니다.


     꿈꾸지 않는

     넋이 있나요?

     -바로 저런 겁니다.

 

 

7032707.jpg

 


흠, 또 다른 통영 시인이 ‘무의미 시’론을 들고 나왔다고 항의하는 건 아니겠지만


     아무튼

     의미는 성가시고

     무의미는 더욱 부질없기로


     엎드려

     숨도 쉬지 않고

     입을 봉한 지는 이미 옛날,


     적막도

     정녕 저러하다면

     목숨들 한번쯤 누리고지고.

 

 

7032706.jpg

 

                               7032705.jpg

 

 

그 ‘돌’ 또 나온다.


     이끼 속

     주름진 옷자락

     한쪽 어깨를 추스릅니다.


     바람에

     연꽃이 벙글 듯

     입 언저리 미소를 머금습니다.


     이윽고

     유서를 고쳐 쓰고

     또 서늘한 가을이 옵니다.

 

 

7032708.jpg



돌은 돌이니까 돌 아닌 것과 비교할 것도 아니고

돌이라고 돌이기만 하지는 않아서

‘돌 같다’는 말로 누구에게나 뜻이 통하지도 않는다.


{돌이야 답답하겠는가?}


 

7032709.jpg

 

703271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