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깅 (偶吟)

 

예전에는 ‘작란(作亂)’이라고도 그랬다.

“너 지금 장난하는 거냐?”  “장난이 아니다”라는 말들 하는데...

아, 장난하고픈 마음 장난이 아니지.


블로깅이라는 게 그거 장난이거든.

다산은 늙은이로서도 신나는 게 하나 있는데

어려운 운자에 구애받을 것 없고 고쳐가며 시간 끌 것도 없이

그저 붓 가는 대로 말 같잖은 글 휘갈기는 일이라고 했다.

{老人一快事  縱筆寫狂詞  競病不必拘  推敲不必遲...}

그러니 뭐 방문자 수 신경 쓸 것 없고

‘오늘의 특식’에 걸리지 않았다고 서운할 일 아니다.

{다산이 나와서인데, 그는 지나치게 꼼꼼해서 별 걸 다 기록해두었고

그 별 것 아닌 게 나중엔 아주 귀한 말씀이 되었다니까... “혹 알아?”라는 얘기.}


詩, 書, 畵, 歌, 琴...  어느 하나도 못 하지만

나이 들면 뻔뻔해지니까, 제가 잘 하는 줄 아니까

들어주는 사람 없어도 저 좋다는 데야...


{信意閒彈秋思時  調淸聲直韻疎遲  近來漸喜無人聽  琴格高低心自知

-白居易, ‘彈秋思’-}


무슨 게시물 분류도 할 것 없다.

민물고기가 다 그 맛이고 씨알이랄 게 있나 잔챙이뿐인데

그냥 한데 모아 국물 맛이나 낸 잡어탕 아니겠는가.


기사 댓글 같지 않아서 야비 치사 뻔뻔으로 덤비는 이들 별로 없으니

익명으로 오는 이들 탈 벗기려 할 것 없고

노상 카페 양산 아래 뭘 시키지 않고 앉았다고 해도

손님도 없는데 내버려 두지 뭐.

어디서 왔냐고 물으면 비시시 웃고 말지 일러주겠나?

{問我何處來 我來無何有  -蘇軾, ‘和陶淵明擬古’-}

 

 

7072401.jpg

겸재 정선, ‘漁樵問答’  


 

기력 회복하신 어른은 밤마다 설교를 즐기시는데

별 대꾸 없는 아들에게 “나 때문에 너도 웃음을 잃었구나” 그러신다.

같이 점심 들 사람 없고 집에 가도 할 말 없지만

그리 답답할 건 없다.


산속에서 혼자 사는 것도 아니니

{問余何事棲碧山...  -李白. ‘山中問答’-}

누가 그리 물어올 것도 아니라서

그랬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아릿하고 아슴아슴해진다.


{山中何所有  嶺上多白雲  只可自怡悅  不堪持贈君

-陶弘景(梁), ‘詔問山中何所有賦待以答’-}


찾아올 이 없어도 길은 쓸어놓고

나갈 일 없어도 면도는 하지만

기다리거나 그러지는 않는다.


시인을 좋아하면 그의 시집을 사되

시가 좋아 살 것은 아니라는 얘기.

좋은 시 한 편 때문에 시집을 사면

그것 말고 더 고를 게 없어서 황당.

시집 같은 여자?  그러면 실수한 거야.


필요하면 같이 살되

노래는 내 노래 부르는 거지.


 

7072402.jpg

                                                    Sona ta?  아니고, 박창돈, ‘풍요의 강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