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설(瑞雪)

 

폭설주의보가 내렸었는데

중부지방 이상 없음, 그리고 충청/ 호남 지역이 눈 폭탄을 맞았다더라.

기상대의 굴욕? 냅둬, 그만하면 됐다. 그럴 수 있는 거야.

 

아침에 눈꽃이 흩날리는 것 같더니만 흔적도 없네?

제야에 눈 내릴까?

{나야 뭐 상관없어,

기대하지 않지만, 오면 좋고.

눈이야 무심하지만

중생(衆生)은 유정(有情)이니,

내리기라도 한다면

또 난리날 것이구먼.}

 

 

7123101.JPG

 

 

김광균의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가 그중 백미(白眉)로 꼽히는 모양이더라.

 

     어느 머언 곳의 그리운 소식이기에

     이 한밤 소리 없이 흩날리느뇨.

 

     처마 끝에 호롱불 여위어 가며

     서글픈 옛 자취인 양 흰 눈이 내려

 

     하이얀 입김 절로 가슴에 메어

     마음 허공에 등불을 켜고

     내 홀로 밤 깊어 뜰에 내리면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

 

     희미한 눈발

     이는 어느 잃어진 추억의 조각이기에

     싸늘한 추회(追悔) 이리 가쁘게 설레이느뇨.

 

     한 줄기 빛도 향기도 없이

     호올로 차단한 의상(衣裳)을 하고

     흰 눈은 내려 내려서 쌓여

     내 슬픔 그 위에 고이 서리다.

 

       -‘설야(雪夜)’, 1938년 1월 8일 동아일보-

 

 

7123102.JPG

 

 

김용택은 ‘내게 당신은 첫눈 같은 이’라 했다.

 

     당신 하나로 밤이 깊어지고 해가 떴습니다.

     피로와 일 속에서도 당신은 나를 놓아주지 아니하셨습니다.

     기도, 명상까지도 당신은 점령군이 되어버리셨습니다.

     내게,

     아, 내게

     첫눈 같은 당신.

 

 

7123103.JPG

 

 

몇 년 전 동문 홈페이지에 실린 ‘근하신년(謹賀新年)’이라는 연하장에

동영상으로 첨부한 눈 내리는 풍경이 정겨워 보여 덧글을 붙였더랬다.

 

     서설(瑞雪)로 축복하는 모습이

     참 아름답구나.

     숨겨도 이내 들통날 것이니

     눈 덮였다고 좋아할 것도 아니지만,

     잠시라도 시름 가리도록

     펑펑 쏟아져서 소록소록 쌓이거라.

      (... ...)

     새해에는

     사랑하지 못할 사람들이 줄어들고,

     용서하지 못할 사람이 남아있지 않고,

     마음결에 찍힌 흉터들이 흐릿해지고,

     가난이 부끄러울 건 없지만

     쪼들리지는 말고,

     망가진 건강 때문에 한숨짓지 말고,

     약한 이들 도울 수 있는 힘은

     좀 남겨주시기를

     기원합니다.

     납전삼백(臘前三白)이면 풍년이라던데,

     허허허허

     저렇게 뿌려주시니,

     만사형통(萬事亨通)은 불문가지(不問可知)렷다.

 

 

7123105.JPG

 

 

따로 ‘이웃’을 정하지도 않았지만

찾아오는 이들 더러 있고

답설무흔(踏雪無痕)의 경지에 이르렀어도 내 알지, 다녀간 줄.

 

그냥 “귀댁-예전엔 ‘高堂’이라 했다-의 만복을 비나이다” 하기는 재미없어서

연하 인사랍시고 주절주절하다보니 길어졌어요.

이런 시간엔 더 가깝고 덜 가깝고가 없어서

승전 소식이 전해진 날 거리로 쏟아진 사람들이 아무하고나 부둥켜안듯

그렇게 당신의 행복과 건강을 기원합니다.

 

 

712310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