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산소 다녀오는 길에

 

맑은 날은 밝아서 좋고 {그야 말할 것도 없지}

흐린 날은 그 왜 “내 맘의 강물 끝없이 흐르네” 그런 것 있지, 그래서 괜찮아.

날씨야 아무러면 어떻겠어.

 

 

8061101.JPG

 

 

적당한 눌림, 참을 만한 아픔, 어지럼 같은 것들엔 이골이 났고

관계없는 이들이 오늘 딴 곳에서 시시덕거린들 상관없는 일이지만...

응, 왜 그러지?

싸리비로 봉당 쓰는 소리랄까, 대숲 빠져나가는 바람소리랄까 그런 게 그치지 않는 거야.

번짐과 퍼짐이 흐름이 되어 밤까지 이어지는 날

갯메꽃, 해당화 핀 모래언덕에나 다녀올까 그러면서

소라껍질을 귀에 대고 주라기로 거슬러가기도 하고

성의 없는 답장조차 보내지 않을 사람에게 싱거운 안부나 띄울까 그러면서

안절부절, 우왕좌왕, 제 마음 달래지 못하다가

그렇구나, 그런 거였구나, “어머니 산소에 가본지 오래네”에 생각이 미친 거야.

 

 

8061102.jpg

 

 

 

옛적에 다리 위에 4'x3' 점포 얻어 편물가게 하시던 어머니 찾아갈 때처럼

“저 왔어요” 그랬다.

{형제들과 같이, 처자식 데리고 오지 못했지만...}

그때 “숙제 안 하고 왜 왔니?” 그러시듯 “차도 없으면서 어떻게 왔니?” 그러신다.

 

연장 챙겨왔으니 간만에-제대로 하기로는 처음일 거야- 말끔히 벌초했다.

{근처의 외조부, 외증조모 산소까지도... 하하 어머님께 칭찬 들었네.}

이끼 걷어내니 더러 잔디 새로 입혀야 할 데도 눈에 띄지만

두 달 지나면 아버님 곁으로 옮겨 가실 테니까...

“두껍아 두껍아 헌 집 줄게 새 집 다고~” 하듯 봉분을 살살 두드리기도 하고 그러다가

“그만 가보지?” 그러시는 소리 듣고 일어난다.

빈산에 뻐꾸기 울음 퍼진다.

 

     사랑은 꼭 그만큼에서

     그 빛깔만 같이

 

      -장석남, ‘뻐꾸기 소리’ 중-

 

 

8061103.JPG

 

 

 

내려오다 보니 묘지 관리인 집에 오동나무 한 그루 서있고

화분에 심긴 섬초롱꽃이 더러 피어있다.

 

흠, 울릉도 가야 볼 것도 아니고 희귀종이랄 것도 없다.

족보 있는 꽃들이 조선 천지에 널리게 된 게 고마운 일인지.

또 빼앗기지 마라. 하늘말나리, 섬나리조차 히딩크 나라에 로열티 주고 들여와야 한다니...

 

 

8061104.JPG

 

 

어둔 길 나다니는 님 따라다니며 밝혀줄 수는 없지만

대문에서 한참 나와 꽃초롱 들고 기다리는 맘 알기나 할까?

 

 

8061105.jpg

 

 

     오동꽃 보랏빛 떠는 하늘빛

     오동꽃 보랏빛 조그만 초롱

     멀리 있는 너를 두고 나 혼자서

     5월 하루 더딘 날 나 혼자서.

 

      -나태주, ‘오동꽃’-

 

 

8061106.JPG

 

 

보랏빛으로만 치자면 더 고운 것들 많거든.

모양으로 해도 더 잘빠진 것들 많거든.

오동꽃은 오동꽃이라서 “아아~” 하는 거라고.

오동꽃은 오동나무에 달리기에 대접받는 거라고.

 

봉황은 오동나무에만 앉는다던데?

 

{기억나, 예전에 ‘일석이조’라고 비웃던 인물?

저 못난 줄 아니까 뽑은 사람들 일하도록 내버려뒀지.

자수성가하여 최고위에 오른 사람들은 종교와는 상관없이 제 주먹과 제 머리만 믿더라고.

“열심히 일하고 정직하기만 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그러더라고.

정직하지도 않지만, 그건 뭐 그렇다고 치고... 사람이 말을 들을 줄도 알아야지...}

 

그게 좀 흐느끼는 소리를 내거든.

베어 가야금을 만들기도 전에 말이지.

 

     빈 대(臺)에 황촉(黃燭)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梧桐)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조지훈, ‘승무’ 중-

 

바람 소슬 잎들이 다 푸름을 잃어갈 때

‘아 가을인가’를 알리는 게 꼭 오동잎이어야 하는지...

옛 어른도 “未覺池塘春草夢 階前梧葉已秋聲”이라 하시지 않았던가

못가 봄풀들 꿈에서 깨어나기도 전에 섬돌에 지는 오동잎 이미 가을임을 알리네.

 

 

8061107.JPG

 

 

 

돌아가시기 얼마 전에 발표한 글에서 그러셨다.

“잘 자라준 육남매에게 고맙고 미안하다.”

 

나도 얼추 어머니 이 땅에 계셨던 날수만큼 살았는데...

 

이렇게 살아있다는 게

나름 사랑한 거지

{사랑하지 않고서야 살 수 없으니까}

그래도 더 아끼고 잘 위해줄 수 있었으리라는 후회가

일말(一抹)이 아니라 한 말가웃이다.

 

 

806110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