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슬아씨 13 국화, 들국화, 과꽃
어디서 어디로 가는 걸 돌아간다고 그러는지
이제는 돌아와 국화 앞에 서서...
여기서 이태 더 보내면 한국과 외국에서 산 햇수가 같아진다.
딸은 국화를 싫어한다. 죽음을 연상한다고.
{죽음이 삶의 일부인지를 알 나이가 아니지.}
아, 오늘 사람들 손에 조화(弔花) 한 송이 쥐여지는 일이 터졌구나.
중학교 시절에 56행이나 되는 장시를 외라고 해서 숙제하듯 해내고 ‘검사필’이 되었지만
내키지 않아서였는지 지금은 대부분 잊어버렸다.
소월의 시 ‘고락(苦樂)’에 이런 구절이 들어있다.
칼날 위에 춤추는 인생이라고
물속에 몸을 던진 몹쓸 계집애
어쩌면 그럴 듯도 하긴 하지만
그렇지 않은 줄은 왜 몰랐던고.
칼날 위에 춤추는 인생이라고
자기가 칼날 위에 춤을 춘 게지
그 누가 미친 춤을 추라 했나요
얼마나 비꼬이운 계집애던가.
얼마나 어려웠으랴.
가진 게 보호막이 되기는커녕 짐만 될 수도 있겠지만
무겁다 이 짐을랑 벗을 겐가요
괴롭다 이 길을랑 아니 걷겠나
무거운 짐 지고서 닫는 사람은
보시오 시내 위의 물 한 방울을.
(... ...)
어여쁜 꽃 한 가지 이울어 갈 제
밤에 찬이슬 되어 추겨도 주고
외로운 어느 길손 창자 주릴 제
길가의 찬 샘 되어 누꿔도 주오.
시내의 여지없는 물 한 방울도
흐르는 그만 뜻이 이러하거든
어느 인생 하나이 저만 저라고
기구하다 이 길을 타발켰나요.
이 짐이 무거움에 뜻이 있고요
이 짐이 괴로움에 뜻이 있다오
무거운 짐 지고서 닫는 사람이
이 세상 사람다운 사람이라오.
소월도 33살에 자살했으니
조숙한 청년의 교훈시가 다 헛말이었던 셈이지만.
유사 사례가 최근에 여럿 있었지만
보통사람들에게 전달되는 충격은 유별나게 극심한 것 같다.
그럴 사이가 아니었던 사람들조차 잡지 못했음을 미안해하고.
{예뻐도 유리성이라 깨지기도 쉬운 거구나.}
갔으니 어쩌랴... 편히 쉬어요.
저 하늘에는 눈물이 없네 거기는 슬픔도 없네.
쑥부쟁이, 산국, 감국 같은 게 한국에만 있는 건 아니다.
캐나다와 미국에 사는 동안에도 들꽃과 눈 맞추러 나다니곤 했다.
구절초는 {모양이야 다 비슷하니 기다 아니다 할 것도 아니지만} 이쪽에만 있는 듯.
겪은 아픔 헤아리자면 아홉 마디(九節)로 되겠냐만
열! 그러면 뚝 꺾어질 것 같아서
“많아 참 많아 말 안 해서 그렇지...”를 “내 겪은 고난 누가 알랴” 정도로 해두고
이제는 그만 꽃 피워내자는 구절초.
꼬불꼬불 울고불고 넘는 고개라 구절(九折)이라 했을 것이고
구월 구일(음)께 서늘한 기운이 폐부를 씻기는 날 피어 구절(九節)이라 했을 것이다.
아 캐나다에 살 때는 참 여러 종류, 별난 빛깔의 과꽃으로 큰 밭을 이루기도 했다.
그게 고국 하늘아래라야 제 자리인가 싶다.
갈무리한 한(恨)이 몇 가마가 될는지
그래도 내게는 푸근하기만 했던 이모의 웃음 같고
웃기 전에 눈초리 찍던 남색 고름 같은 과꽃.
오늘 좀 그렇구나.
꽃은 위로이기도 하고 슬픔이기도 하다.
꽃은 “슬픔은 내가 질 테니 기쁨만 네가 가져가라” 그럴 것이다.
이제는 돌아와 붙박이별로 꽃들과 사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