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고 싶다는 이에게
눈 내리는 밤 방안이 좋은 거지
“어느 집 질화로엔/ 밤이 토실토실 익겠다”(김용호, ‘눈 오는 밤에’) 쯤을 돌아볼 수 있고
“오마지 않은 이가 일도 없이 기다려져”(최남선, ‘혼자 앉아서’)로 헛물켜고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김광균, ‘설야“)가 들리는 것 같잖아?
금요일 오후에다 눈까지 내렸으니 젊은 직원들은 “TGIF!”로 환한 얼굴이 되어있지만
늙은이 나다니기에 이런 날이 어찌 좋겠는가.
아침에 흉한 꼴로 미끄러진 건 아니고 체조선수 착지 잘못하듯 엉거주춤한 정도였는데도
쓰지 않던 근육이 놀래선지 등에 아련한 통증이 잦아들었다.
서울에서 출근길에 뿌리는 눈은 반갑지가 않다.
그래도 댓잎이 감당할 만큼 얹힌 눈이 보기 좋더라.
폐쇄수도원 채플에서 성가 부르는 수사들처럼 늘어선 나무들이 경건한 모습이다.
어디 좀 갔으면 좋겠다.
떠나지 않고서도 소풍가는 아이처럼 들뜰 수 있고
꿈의 내역은 기억나지 않고 그저 좋았다는 느낌만 남는 꿈을 연속상영으로 돌리며
주말을 홀랑 까먹는 때가 잦지만
누굴 만나러 가는 건 기쁜 일이고
알지 못하며 딛는 걸음도 괜찮다.
겨울이라고 눌러앉아있어야 하는 세상은 아니니까
가자면 어디라도 갈 수 있다.
몸이 가벼우면 살얼음 밟으며 걱정할 것 없고
어울려 놀든지 따로 걷든지 같이 날든지 홀로 떠나든지 제 맘대로.
한 곳에 있어도 더 다가서지 못하고 천년을 바라보든지
한 몸 되지 않았어도 그럭저럭 섞여 한 세월 지나든지
아주 혼자 살 수는 없을 것 같다.
혼자? 홀로 있고 싶고 짧거나 길거나 홀로일 때도 있지만
서로 기대는 존재(人)이고 같이 있어(仁) 돌보고 아낌이 사는 모습일진대
獨尊(독존)이라도 獨存(독존)은 아니거늘.
뛰쳐나가고 싶은 건 돌아갈 집이 있으니까.
“집이 있다는 건 슬픈 일”이기도 하지만
집이 없으면 슬퍼할 수도 없을 만큼 불행하다.
눈 오는 날이 좋은 건
방안에 머물면서 떠남을 꿈꿀 수 있어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