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사에서 끝난 봄나들이

 

‘봄추위’와 ‘늙은이 근력’은 붙어 다니는 말, 오래 가지 않고 믿을 것도 못된다는.

봄눈이 그렇지 뭐.

야비하도록 난폭한 눈보라가 전국을 강타하던 아침에 그래도 떠났다.

그리 독한 맘 품을 것도 아니고 해서

황지우의 ‘눈보라’는 지우려 했는데 몇 줄 생각났다.

“슬픔은 왜 독인가/ 희망은 어찌하여 광기인가//

뺨 때리는 눈보라 속에서 흩어진 백만 대열을 그리는/ 나는 죄짓지 않으면 알 수 없는가”

 

 

10031301.JPG

 

 

 

매임에서 자유롭기를 바란다면서 딱 그날이어야 할 것을 고집하는 게 아니고

그냥 가고 싶으니 떠난 거지.

일박이일에 남도를 주유할 건 아니나 주마간산으로 봄기운이나 쐬려 했던 것이다.

들린 데 일일이 읊기도 그러니 먹은 음식으로 미루어 짐작하게.

서대회/ 금풍생이 (점심), 게장백반 (저녁), 전복죽 (아침), 짱둥어탕/ 꼬막정식 (점심),

파전 (간식), 전주가 아닌 진주비빔밥 (저녁)

 

 

10031302.JPG

 

10031304.JPG

 

10031303.JPG

 

 

 

꽃소식은 전해야겠지?

매화마을은 다음 주말이 한창이겠으나 미어터지는 사람들 피하자면 22일쯤이 어떨는지?

금둔사 납월매는 끝물, 선암사 백매, 청매 보려면 25일쯤이 좋겠다.

{양지나 시가에는 백매도 만발했으니 늦은 행차로 뒷북치고 나서 내 원망 마시게.}

 

 

10031305.JPG

 

 

 

법정스님께서 원적(圓寂)하시던 시각에 마침 송광사에 있었네.

별로 준비하는 것 같지 않더라.

전해졌는지 모르지만 비보는 아니니까, 경보를 울릴 일도 아니니까.

풍경도 없는 절이니 큰절이라도 별 소리 나지 않고 적요(寂寥)하데.

 

 

10031306.JPG

 

10031307.JPG

 

 

효봉영각(曉峰影閣) 댓돌에만 간밤 내린 눈이 녹지 않았나 했더니

무말랭이를 말리노라 돌아가며 펼쳐놨더라고.

그런데 해우소는 하도 지저분해서 근심 떨어낼 수 없겠던데.

{사람들 맞으려면 치워야겠더라.}

 

 

10031308.JPG

 

 

불일암에 들리고 싶었으나 일정에 쫓겨 놓쳤는데...

당분간 성지처럼 되어 호젓함 누리려 찾지는 못하게 됐겠다.

 

 

10031309.JPG

                          1975년 불임암 짓고 얼마 지나지 않아 찾아온 함석헌 할아버지와 함께.

                    일일일식 하신다던 그 어른은 불쑥 찾아와 우리들 밥을 축내고 그러셨다.

 

 

전날 고향 해남에서 올라온 동백과 매화꽃잎을 만지작거리셨다고...

 

 

10031310.JPG

 

 

 

톡 톡톡 동백꽃 떨어지는 소리, 최루탄도 아닌데 알싸한 냄새로 퍼져 눈물 나게 하는 매향

부음을 보태어 더 좋았다고 할 수야 있겠는가

그래도 발자취의 일부나마 때맞춰 찾은 셈이네.

 

 

                10031311.JPG  10031312.JPG

 

 

 

김수환 추기경 떠나시며 ‘사랑’-뭐지?-과 나눔, 구체적으로는 ‘장기기증’ 등의 바람 일으키셨는데

법정 스님 남기신 ‘소유욕’을 경계하는 말씀들이 반짝경기 후 스러지지 말았으면 좋겠다.

울음은 잠깐이나 울림은 오래가기를.

 

 

10031313.JPG

 

 

 

음악은 1938년 Pablo Casals의 연주입니다.

{모노 음질이 좀 그렇지만 저작권 시비에서 안전할는지...}

법정 스님이 즐겨 들으셨다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