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 구름 2

 

복더위로 헉헉거릴 즈음 하루 이틀쯤 살려주듯 선선한 때가 있다.

큰바람 다가오면 다른 피해가 염려된다 해도 일단 시원하잖아?

늦장마로 간밤에도 세찬 빗줄기가 쏟아지다가 간신히 멈춘 터에

푸른 하늘에 둥실 뜬 흰 구름이 눈부신 건 아니나

지리산에서 구름편지로 날아온 소식이 있어 하늘 한번 다시 쳐다보게 된다.

 

 

10072601.JPG

 

 

 

서산대사(休靜) 가로되:

“山自無心碧 雲自無心白 其中一上人 亦是無心客”

-‘題一禪庵壁’-

 

말 안 한다고 할 말 없는 게 아니고 가만있다고 해서 무정하지도 않다.

{“造物無言却有情”이란 말도 있더라.}

 

마음 끌리거나 기울음이 없어 無心이라 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는 어쩌면 생겨나와”? {Cf. 소월의 ‘부모’ 중} 에이, 그런 질문이 어딨노?

이렇다 할 이유 없고 생겨나 머물다가 사라짐을 설명할 의무가 없이

저절로 있고 그냥 그렇게 지남.

그러니 그런가보다 하고 눈여겨보지 않음, 뭐 그 정도일 것이다.

 

뫼 절로 푸르다는데 {푸르자고 그런 것도 아니고}

구름 절로 희다네 {그러고 보니 그런가}

거기 어딘가 있는 (도 좀 닦아보겠다던) 한 사람

그저 그렇게 지나가는 손

 

 

10072602.JPG

 

 

남북관계가 지금 같지 않던 시절 묘향산에 들른 적이 있는데

따로 움직일 겨를이 있겠는가, 해본 거라곤 겨우

산등성 하나 넘으며 피어나는 뜬구름 보고 원적암이 어디쯤 있었을까 가늠하다가

박제가가 물수제비뜨며 놀았다는 향산천에 발 담가봤을 뿐이다.

 

 

10072603.JPG

 

 

 

임태희 대통령실장 내정자는 “의원직이든 지역구든 본래 내 것이 아닌데...”라며

“生也一片浮雲起...”를 읊었다고. 씩이나...

生死去來 뿐도 아닐 것이다.

 

 

10072604.JPG

 

 

 

“대체 뭐냐고?”라는 질문을 두고

서양철학은 ‘동일률’을 내놓았다.

A = A, 이음동의어로 정의(definition)하나 새로운 사실을 알림이 없다.

A = B? 말이 안 되는 거지, A가 아닌 것이 어떻게 A가 될 수 있겠어?

 

Tat tvam asi.

게으른 도사들의 잠꼬대 같은 알맹이 없고 뻔뻔한 선언 말고는 그럴 듯한 대답이 없는 셈.

 

{Upanishad에 나오는 구절의 해석이라는 게 그렇다. “그대가 그것!” 그게 뭐야?

중학 2학년 때 “That's it.”라는 문장을 읽은 학생이 자신 없는 태도로

“저것이 그것이다”라고 옮겼는데 교사가 그냥 지나쳤다.

“선생님, 그게 아니잖아요?”라고 다른 학생이 지적하자 “네가 가르칠래?” 그러시더라는 얘기.}

 

‘梵-我’니 ‘전체-부분’이니 ‘不滅-流轉’이니 나누고 나서는

‘그게 그것’이라 할 수 없다.

아무리 잘난 해석이라도 “바로 그거야!”라고 맞장구치기 어렵다.

 

 

10072605.JPG

 

 

근원, 본질 같은 것을 窮究하려다가 잘 안 풀리면 조선인은 묘한 말로 피해갈 수 있거든.

 

건 아니고

것도 아닌 것 같은데

그럼 뭐냐

참 거시기하네, 거시기라 해두세.

 

 

10072606.JPG

 

 

 

‘Toi et moi’도 그렇다.

‘당신과 나’로 분별하면서야 둘 사이에 저 바다가 없더라도 쓰라린 이별은 어쩔 수 없을 것이다.

아니, 합친 적이 없는데 무슨 헤어져 떨어짐의 아픔이 있겠는가?

로미오와 쥴리엣, 트리스탄과 이졸데, 심순애와 이수일, 갑순이와 갑돌이의 ‘와’를 어쩌겠냐고?

 

그래서?

‘하나 됨’을 도모하다가 절망하지 말고

‘더불어 있음’을 즐기면 되지.

 

얽히면 즐기고

있을 때 잘하기.

 

我與汝兮, 에헤요 그대와 나 더불어 에헤요~

 

 

1007260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