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기착지

 

 

칠월 보름, 한가위만큼이야 하겠냐만 달이 크다.

보름달 아래로 기러기 떼가 지나가는 광경 잡을 수 있을까?

풋, 삼각대도 없이 똑딱이로? 꿈은 야무져요.

지나가는 목에서 기다리는데... 아니, 얘들이 왜 안 오는 거야?

아무래도 딴 길로 샌 게다.

잘 됐지 뭐, 머리 위를 지나가는데도 못 담았다면 고가 카메라 사고 싶은 욕망 꿈틀댔을 테니까.

 

 

s 14081301.jpg

 

 

 

아니, 날아가는 애들을 어떻게 잡겠어? 가겠다는 사람 떠나기 전에도 붙잡지 못하면서.

 

 

s 14081302.jpg

 

 

다들 가고 있는 중이다.

그런 모습들 보면서 “나도 가고 있는가 보다, 도중에 있구나.”라는 생각.

움직이다가 마주치기도 하고 부딪히기도 하고, “어. 죄송합니다, 차라도 한 잔...” 그러는 것.

 

야 기러기들아, 너희들은 멀리서 보고 잠깐 관심대상-‘관심병사’는 아니고-이었을 뿐

서로 이름을 불러준 건 아니니까.

{이름 붙여 부르는 사이라도 그러네, 갈 때 되면 갈 데로 가는 거지, 따로 떨어져.}

 

 

s 14081303.jpg

 

 

 

휘영청 달밤엔 걸음이 휘청.

그거 참, 정신 말짱한데 웬 취보(醉步)?

게다가 내 그림자가 없다니, 가만있자 무영신법(無影身法)? {아무래도 무협지의 폐단이 큰 듯.}

이래서야 어디 월야독작(月夜獨酌)하는 이백(李白)에게 가겠는가?

 

 

s 14081304.jpg

 

 

 

옛적에 부르던 찬송가에는 이런 식으로 시작하는 것들이 많았다.

“나는 길 가는 나그네니”, “역려과객(逆旅過客)같은 내가”. “나는 순례자오니”

“뜬세상의 손 노릇도 잠시 동안 뿐일세”...

또 “이 세상의 소망 구름 같고 부귀와 영화도 한 꿈일세” 같은 것들도 있었고.

좀 허무주의적인 톤이긴 한데, 천년만년 잘 살겠다는 개꿈의 부질없음을 일깨워주기는 했지.

 

그런데, “죄 많은 이 세상은 내 집이 아니네” 그러면, 내 집은 어디?

또 땅에서는 외국인과 나그네로라 증거하였으니 이같이 말하는 자들은 본향 찾는 것을 나타냄이라 저희가 나온바 본향을 생각하였더면 돌아가 기회가 있었으려니와 저희가 이제는 더 나은 본향을 사모하니 곧 하늘에 있는 것이라 (히 11:13b-16a)

 

 

s 14081305.jpg

 

 

‘나그네’로 옮긴 헬라어 parapidemos는 다른 땅에 일시적으로 체재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한국 전쟁 후 한동안 본적지가 아닌 곳에 가서 며칠이라도 머물자면 지서(支署)에 기류계(寄留屆)를 제출하고 허락 받아야 했다. 또 외국에 잠시 들러 가는 사람이라도 통과 비자를 받아야 되고. 그렇게 제한된 체재 기간만 머물 수 있는 사람이 나그네이다. 여기서 얼마를 살더라도 결국 떠나야 할 처지라면 ‘나그네’이겠네.

 

헬라어 paroikos라는 말은 어느 장소에 허가를 얻어 거주하며 외인 세(外人 稅)를 지불하는 사람을 가리켰다. 이 땅에서 시민으로서의 의무를 완수하고 세금 낼 것은 다 내면서도 결국 외국인으로서의 무능력과 수치를 감당해야 한다면, 그게 paroikos이다. {교민(僑民)이라는 말, 그게 좀 그렇거든.} Paroikos는 멀리 고국을 떠나 이방에 살면서도 그의 생각은 언제나 고향에 있는 사람, “고향 땅이 여기서 몇 리나 되나 푸른 하늘 끝닿은 곳”을 그렁그렁한 눈으로 바라보는 사람이다.

 

 

s 14081306.jpg

 

 

그때에 흩어져 살던 유대인(parapidemois diasporas, 벧전 1:1)들은 어디서나 그들의 눈이 예루살렘을 향해 있었다. 외국에 사는 그들의 회당은 예배자의 얼굴이 예루살렘을 향하도록 지어졌었다. 그대는 고향이라고 어디를 바라보고 있느뇨? “한 성을 예비하셨느니라.”(히 11:16) “우리가 여기는 영구한 도성이 없고 오직 장차 올 것을 찾노라”(히 13:14)고 해야 하는데...

 

요즘은 믿는 이들(信者)도 영원한 도성의 본향 집을 바라보지 않더라고. 그리워하기는커녕 그런 게 있음조차 인정하지 않더라고. “고대광실 높은 집 문전옥답도 우리 한번 죽으면 일장의 춘몽”이라는 말은 쏙 들어갔네. 여기밖에 없다니까, 이 삶 말고 없다니까, 잘 먹고 잘 사는 게 최고이고, 믿음이란 무엇이뇨 행동하는 욕심이로세.

 

{에고, 왕년 버릇 던져버린 줄 알았더니, 이게 무슨 소리...쯧}

여튼, 여기 좋다 해도, 떠나기 싫다 해도, 여기는 그저 중간 기착지. 오래지 않아 떠나야 하는.

 

 

s 14081307.jpg

 

 

기러기 보며 저도 “난 붙박이 아냐, 다리 위에 집 지을 생각 말고...”쯤은 깨우쳐야지.

아이들 조기유학, 부부 다른 근무지에서 취업, 등으로 기러기가족 된 이들 뿐만 아니고, 다들 기러기인 줄 알면 됐다.

 

 

s 1408130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