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워츠미술관과 ‘날개 달린 책’
이웃 도시라 해도 서울-천안 정도 거리는 되는 데 있는 미술관에 다녀왔다.
The Modern Art Museum of Fort Worth, 우리말로 근대미술관? 현대미술관?
흔히 현대미술관이라고 옮기지만, ‘contemporary’가 현대일 것 같은데?
{소장품을 두고 ‘modern art museum’이라고 한다면
19세기 후반부터 시작하여 인상파, 후기인상파, 상징파로 분류되는 화가들의 작품과
입체파에 영향을 끼친 세잔느, 20세기 초의 그 야단스러운 이들의 작품으로 한정하고
이차대전 이후부터는 ‘contemporary art’로 하자 그럴 수도 있겠는데.}
가을이 되어 어디론가 움직이고픈 마음에 발동이 걸려 포트워츠미술관을 찾았으나
Anselm Kiefer의 ‘날개 달린 책(Buch mit Flügeln)’을 보려는 뜻도 있었다.
{뭐 별난 건 아냐. 그리고 그 안젤름 키퍼는 항상 과한 배경 설명 같은 걸 지닌 사람이라서.}
흉하지 않은 신파 “낙엽이 쌓이는 날 외로운 여자가 아름다워요”-고은, ‘가을편지’-도 그렇겠으나
가을에는 책 읽는 여자가 예쁘다.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는 표어, 등화가친(燈火可親)이라는 말 아직도 사용하는지?
공부하기 좋은 날은 놀기에도 좋은 날이고, 책 읽기 좋은 계절은 나들이에도 좋은데
들앉아 고전을 읽으며 마음을 씻고 갈고 닦고 끌어올려 나는 사람은 “이 아니 아름다운가?”
어떻게 나냐고? 책에 날개가 달렸거든.
{날개 있어도 퇴화했는지, 날 필요가 없어서 날 줄 모르게 된 건지, 날지 못하는 새도 있지만.}
이카루스(Ἴκαρος)처럼 깃털을 모아 초(蠟)를 붙여 만든 날개를 타고 난다?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어떻게 여기까지? 진즉 떨어질 것이...”로 되고 말 것이다.
검색창 지식이랄까 많이 모았어도 날게는 하지 못하는, 올라갈수록 위험해지는 날개도 있지.
날기야 하겠는가, 그렇게 바라기나 하는 것이고
날지 못했다 하더라도 날기를 노래했던 사람들은 나중에라도 날았으리라.
해서... 게으른 사람이 일없이 해보는 소리 나마 “날개야 다시 돋아라. 한 번만 더 날아보자꾸나.”
{언제 날아본 적 있다고...}
이상과 현실의 괴리(乖離)? 그런 것 없다.
앙감질(깽깽이걸음)로 얼마나 가겠어?
그러니까 어느 한 편이 나아가면 다른 게 뒤따라 나아가게 되지.
꿈꾸면 날개도 달고 날 수도 있을 것이다.
날 줄 안다고 날기만 하는 건 아니니까.
내려서 종종거리거나 어슬렁거리며 놀기도 하고 먹기도 하고 자기도 할 것이다.
현실에 안주하는 사람은 날지 못할 것이고
이상을 추구하는 사람은 그러는 동안 살아가니까.
Anselm Kiefer는 ‘책’을 대단한 것으로 여겼다.
책은 지식의 보고이고 종교(宗敎, 으뜸이고 근본적인 가르침)의 경전이니까.
{희랍어로 책(βίβλος)이라는 말이 영어로 bible이 된 것이고.}
포트워츠미술관에는 그의 작품이 두 개 더 있다.
‘Quaternity’, 그걸 뭐 사위일체(四位一體)라고 옮길 수 있겠는지, 네 개로 된 한 벌을 뜻하고,
융 심리학이나 밀의종교(密意宗敎)에서 만지작거리는 개념이기도 한데
그림은 그게 뭐냐?
그리고 ‘die Aschenblume’, (1983-97)이라고 적힌 걸 보니 14년을 붙들고 낑낑댔던 작품?
흙, 재 같은 재료를 쓰고 말라버린 해바라기는 거꾸로 달고, 흠 총통의 방이라...
큐레이터의 해설을 옮길 건 없고... 아 그게 좀 그렇다.
현대미술이 어렵다고들 하는데, Kiefer는 그런다.
“당연히 어려운 거야. 그건 오락(entertainment)이 아니거든. 소수만이 예술에 대해서 말할 수 있지.
그건 제한구역인 셈이니까.”
아 내 참... 그래 어려워. 뭔지 모르겠으면 보지도 못해? 모르고도 좋다고 할 수 없는 거야?
좋아할 권리가 있듯이 오해할 권리도 있는 것이고
작가/화가/예술가가 어떤 의도로 작업하거나 제조했든지 ‘감상하는 사람 맘대로’의 여백은 남지 않는가?
Kiefer는 시인 파울 첼란(Paul Celan)과 유대신비주의 카발라(Kabbalah)에 영향 받았으며
작품에 밀의적(密意的)이고 난해한 상징을 도입하고 강력한 정치적 주장도 많이 포함했다.
독일인으로 아직까지도 어쩌지 못하는 역사의 부채에 쩔쩔 매기도 하고.
다 좋은데-응 뭐가?-, 예술이 철학이나 주장의 매개는 아니잖아?
그냥 ‘아름다워서 느낌 좋음’을 유발하면 되는 거 아닌가?
괴기스러운 것도 아름다울 수 있고{醜美}, 그런 아름다움을 좋다고 그러면 추미애?
Kiefer를 좋아하는 사람은 醜美愛.
나는 뭐 좋아하지는 않지만 둘러보고는 싶어, 그러자면 유럽 여행을... 언제?
포트워츠현대미술관은 아담한 정도이다.
건축은 사진 딱 보면 누가 했는지 알 것이고.
빼어나게 잘 빠진 것을 ‘대표작’이라고 내세우는 게 아니고
그만의 특징이 드러나고 다 그만그만한 것들을 뽑아내는 이가 명장(名匠)이리라.
작지만 있을 건 다 있다? 그렇진 않아. 많이 부족하지.
그래도 구색 맞추느라 Picasso, Matisse, Braque, Mondrian, Munch, Warhol 등 한두 점씩이라도.
길 건너면 또 그저 그만한, 나름 알찬 Kimbell Art Museum이 있다.
그래도 인상파 화가들의 작품을 제법 갖추었고, 고대 희랍과 로마의 유물도 몇 점 있다.
그런 자세로 2000년을 기다리다니...
두 미술관 다 상설 전시에는 입장료를 따로 받지 않는다.
“너 세금 냈잖아? 그걸로 이런 일들도 할 수 있는 거니까.” 그게 좋은 나라.
기분 좋은 나들이였다.
- 공짜라 더 좋았어요.
- 그래도 양잿물은 먹지 맙시다.
* 음악은 Claudio Arrau의 1973년 연주로 Mozart, Fantasy in D minor, K.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