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dolce vita

 

세 달 가까이 산후 휴가를 얻었던 딸이 출근하게 되자 제 엄마에게 SOS

{에고 친정어머니의 팔자가 그렇지, 딸이 좋다고 해도 그게...}

도리 있나, 가는데, 비행기로 몇 시간, 그러고도 차로 다섯 시간.

오지에 사니 모처럼 해먹일 것 챙겨가는 짐이 산더미-김치, 깍두기에 냉면 꾸미, 만둣국 고명까지.

할아버지는 그럼? 삼식이는 슬프다.

혼자이어 좋다며? 이젠 안 그래.

마음이 안 잡혀 우왕좌왕, 그러다가 끼니 사이가 점점 짧아지며 이것저것 꺼내 먹으니

설거지할 게 늘어난다.

이렇게 자주 물 묻히다가는 주부습진? 아니면, 어렵던 시절 가여운 어린 식모가 그랬듯이 터진 손?  

상황이 그런지라 일없이 뉴스 들여다보는 시간이 길어졌고

그러는 중에 Anita Ekberg가 별세했다는 소식까지 접했네. 향년 83세(1931, 9. 29 – 2015. 1. 11).

그녀가 누구냐? 몰라도 돼. 아니 말해놓고서는...

Miss Sweden 출신의 배우. {그래, 몰라도 된다.}

 

아래 오른쪽 사진은 2007년의 모습.

그렇구나, 예쁘다 해도 젊을 적에 그랬다는 얘기.

그러니 허사가(虛事歌) 노랫말이 딱 그거네.

 

홍안소년 미인들아 자랑치 말고 영웅호걸 열사들아 뽐내지 마라

유수 같은 세월은 널 재촉하고 저 적막한 공동묘지 널 기다린다

 

 

s 15011301.jpg  s 15011302.jpg

 

 

크고 작은 역을 맡아 여러 영화에 출연했지만, 아마도 가장 잘 알려지게 된 것은

펠리니(Federico Fellini) 감독이 만든 ‘달콤한 삶(La Dolce Vita, 1960)’에서이겠다.

Sylvia 역의 Anita Ekberg가 트레비 천(泉)(fontana di trevi)에 옷 입고 뛰어드는 장면이 인상적이긴 하나

 

 

s 15011303.jpg

 

 

그녀는 여러 조연 급 중의 하나였던 셈이고

Marcello Mastroianni가 하는 Marcello Rubini가 주역(主役)이었다.

 

 

s 15011304.jpg

 

 

그는 로마 상류사회(the rich and famous)의 스캔들을 나르고 퍼뜨리는 기레기인데

그냥 알리기만 하는 게 아니라 그 자신이 끼어들기를 원했고 그럭저럭 그렇게 된 셈으로

파티와 여자를 좇는 퇴폐적인 삶을 이어간다.

 

 

{영화 ‘달콤한 삶’의 내용을 얘기하자는 건 아닌데...}

영화는 생뚱맞게도 거대한 예수 상(像, statue)이 헬리콥터에 매달려 옮겨가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건 뭐 재림(再臨), 공중 강림(降臨) 같은 게 아니고 바티칸으로 이송(移送) 중인,

말하자면 사람들 사는 데를 떠나 성지(聖地)에 갇히려고 압송되는 듯한...

그러고는 신(神)이 떠난 세상에서 벌어지는 일들 1, 2, 3... 식으로 에피소드가 전개되는 셈이다.

 

 

s 15011305.jpg

 

s 15011306.jpg

 

 

Marcello는 지인(知人) Steiner의 저택에서 열린 파티에 초대받아 그의 삶-겉뿐이겠지만-을 들여다보면서

내게 없는 것을 다 가진 Steiner를 존경하고 그의 삶을 부러워한다.

없는 게 없는? 그게 소비주의, 물질주의, 향락주의가 추구하는, 거기다가 지적 분위기와 명예를 덧칠한.

그 Steiner가 가족을 살해하고 자살로 마감하는, 그러니 많이 부족한 삶을 산 거네.

뭐냐고, 가진 게 말짱 헛것이면?

 

 

s 15011307.jpg

 

 

이래도 그렇고 저래도 그렇고

그러셨잖아, “네 생명이 무엇이뇨 너희는 잠깐 보이다가 없어지는 안개니라.”

 

인생백년 산대도 슬픈 탄식뿐 우리생명 무엔가 운무(雲霧)로구나

그 헛됨은 그림자 지남 같으니 부생낭사(浮生浪死) 헛되고 또 헛되구나

 

 

몇 해가 지났을까 Marcello의 귀 뒤에 흰 터럭이 더러 보일 즈음 어느 날 아침

모래밭에 웬 가오리? {그것 참, 맨 첨과 나중 신(scene)이 아주 엉뚱하단 말이지}

 

 

s 15011308.jpg

 

 

그 죽은 가오리 몸통이 구경거리가 될 만큼 꽤 큰데

크면 뭐 하냐고? 그렇게 죽고, 그렇게 밀려와서 그런 꼴이나 보여주고.

Santiago-Hemingway 작(作) ‘노인과 바다’에 나오는-가 잡은 청새치(marlin)처럼

“그거 엄청 큰 거야, 본 중에선 제일 큰”이라는 기록이나 남기는.

 

‘성취’라는 게 다 그렇지 않은가, 남들이 “우와~” 했기로서니?

{그렇다고 “Vanitas vanitate, 세상만사 살피니 참 헛되구나~”만 주절거릴 건 아니지만.}

 

 

아 그리고... 쟤 누구지, 맞아 그때 레스토랑에서 보고 ‘천사’라고 불러줬던 Paola구나.

그런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파도소리가 커서 뭐라고 그러는지 알아들을 수가 없네.

 

 

s 15011309.jpg

 

s 15011310.jpg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우리를... 그런가?

요희(妖姬)와 천사(天使), madonna-whore의 이분법으로 다룰 건 아닌데... 에고 이 얘긴 관두자.}

 

이건 딴 얘기지만...

사랑하면 그리워하게 되잖니, 곁에 없어서도 아닌데 늘 부재(不在)를 느끼니까.

그런데, 천사와는 그리워할 수는 있어도 사랑할 수는 없겠더라.

천사는 몸이 아니니까.

멀리서 보고 미소를 나누는 거지 소통이 가능하지는 않으니까.

동경(憧憬)의 대상이고 영감(靈感)을 환기(喚起)한다고 해도 만질 수(tangible)는 없으니까.

 

 

짠, 짠, 짠 마레가 말 타고 달리는 장면과 함께 나오는 FIN? 아니고,

그래도 못 다한 말...

 

뭐가 달다고? ‘달콤한 삶(la dolce vita)’을 가능케 하는 것?

그러니까, 행복한 삶이 뭐냐는 질문.

 

달기만 하면 달지 않더라고.

너무 달면 으으으으, 진저리~

그걸 쾌락주의의 역리(逆理)(the paradox of hedonism)라고 그러던가.

 

 

s 15011311.jpg

 

 

일부러 쓴맛을 더할 건 아니지만. 단맛에다가 쓴맛을 섞어 중화(中和)시키는 게 아니고

쓴맛 돌지만 그래도 단, 쓴맛에서 찾은 단맛, 그냥 달기만 하지는 않은데 그래도 단,

영어로 ‘bittersweet’이라고 하면 “괴로움이 따르는 즐거움, 희비가 엇갈림”을 뜻하고,

왜 우리에게는 오미자(五味子)-쓴맛, 신맛, 단맛, 짠맛, 매운맛이 다 있다는-에 익숙하잖니?

 

그렇지 뭐, 행복이라 해도 괴로움이 배제된 채 즐거움만 누리는 것은 아니겠네.

사랑도 그렇잖던가, 어둠은 빛 때문에 생긴 것, 어둠 때문에 빛을 찾게 되고 그리운.

 

“Good news도 있고 bad news도 있는데, 어느 쪽을 먼저 들을래?” 그러면

일단 좋은 소식 먼저 들어보고, 그 다음은 귀 막지 뭐? 제 맘대로?

끝이 좋으면 다 좋다는 마음으로 가면 될 거라고.

 

 

{아, 마이크 잡은 김에}

신(神)이 떠난다면, 아니지 신을 덜어낸다면 더 살기 좋은 세상 될까?

신을 마치 hidden camera나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정도로 여기며 추방하면, 모든 게 가능하다?

아닐 걸.

 

{음, 정말로 한 곡조만 더 뽑고}

꽃이 피었다가 금세 진다고 아름답지 않은 건가?

오래 가야 좋은 거라면 조화(造花)가 더 가치 있단 말인가?

 

 

s 15011312.jpg

 

 

그러니, 짧기에, 가버릴 것이기에 한숨짓지 말고 뜬세상(浮世)의 길손 노릇도 즐겁게, 아름답게!

왕창 깨지고도 춤추듯. The Lord of the dance와 함께.

 

 

 

 

 

* 최근 글들은 http://salimcom.org 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