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망초
망초라... 이름이 왜 그런가.
외래종이라고 구박하는데, 땅을 맡아놓은 풀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지만, 나라가 망할 때 들어온 것이라?
밭농사 다 망치니까?
미운 왜놈들과 연결지어 ‘왜풀때기’라고도 했고,
fried egg 같다고 해서 계란꽃이라고 하고,
북조선에서는 ‘돌잔꽃’이라고 한다니 그만하면 듣기 좋다. 그 외 이런저런 다른 이름들도 있다.
하여 나병춘은 이런 시를 썼다.
    개망초는 이름이 많아서 좋겠다
    흥부네 자식들같이 지천으로 
    끈끈하게 이어가는
    그 단순하고 살가운 삶이 정말 부럽다
    구름꽃
    계란꽃
    풍년초
    버려진 묵밭도 빈 집도 
    제 집인 양 떡 버팅기며 
    문패를 달고 풍경을 만드는 
    그 배짱이 정말 부럽다
    허허허 실실 웃고 춤추며
    벌들에게 나비들에게 
    공짜로 세를 주는
    그 가난하고 부자인 마음이
    정말 부럽다
    나도 그런 이름 한 번 갖고 싶다

그것은 잡초의 대표격이라 할 만큼, 잘도 자라고, 정말 지겨운 것이다.  농사꾼들은 아주 싫어한다.  
거기다가 ‘개’자를 붙이면 보통 격이 떨어지지 않는가? 
이하 박주현의 시이다.
    밭곡식 다 망친다 붙여진 이름
    어쩌다 잡초가 된 개망초(莽草)
    너의 조상은 고귀한 국화였었지.
    아침 이슬에 눈물 훔치고
    길가에 흐드러지게 피어    
    하나의 의미로 다가선 향기
    채울 수 없는 허기의 갈증 
    한 줄기 바람에 흔들리다가 
    하얗게 피어난 생명에 꽃  
 
    비바람 이겨내며 소생한 비명 
    개살구 개머루 개불알꽃 
    너와 나 모두가 억울한 이름들   
 
비슷한 뜻과 분위기이겠는데, 이향아도 ‘개망초 칠월’에서...
    칠월 들판에는 개망초꽃 핀다.
    개살구와
    개꿈과
    개떡과
    개판.
 
    ‘개’자로 시작하는 헛되고 헛된 것 중
    ‘개’자로 시작되는 슬픈 야생의
    풀꽃도 있습니다.
    ‘개망초’라는.
    복더위 하늘 밑 아무 데서나
    버려진 빈 터 허드레 땅에
    개망초꽃 여럿이서 피어나고 있다.
    나도 꽃, 나도 꽃,
    잊지 말라고.
    한두 해, 영원살이 풀씨를 맺고 있다.
    개망초 지고 있는 들 끝에서는
    지평선이 낮게 낮게
    흔들리고 있을 거다. 
 
같이 살자고 몇 사람 모아봤는데, 와, 정말 uncontrollable...
다시 보니 ‘꽃’이다.  
생명이 다 그런 거지.  사람이 다 그렇고.  
따로 곡물이나 채소 농사짓지 않는 다음에야 고운 시선으로 봐주자.  
가꿀 것은 없지만--가꾸지 않아도 되니까, 사랑해야지.  
장미원도 아니고.
그냥 ‘식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촌수가 없으면 나중 사랑으로 만난 것이겠는데, 이건 한 배에서 났으니까 싫고 좋고가 없다.  
어쩌겠는가. 동기간의 사랑?
 
이하 안도현의 시이다.
    눈치코치 없이 아무데서나 피는 게 아니라 
    개망초 꽃은 
    사람의 눈길이 닿아야 핀다. 
    이곳 저곳 널린 밥풀 같은 꽃이라고 하지만 
    개망초꽃을 개망초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이 땅에 사는 동안 
    개망초꽃은 핀다. 
    더러는 바람에 누우리라. 
    햇빛 받아 줄기가 시들기도 하리라. 
    그 모습이 늦여름 한때 
    눈물지으며 바라보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면 
    이 세상 한쪽이 얼마나 쓸쓸하겠는가 
    훗날 그 보잘 것 없이 자잘하고 하얀 것이 
    어느 들길에 무더기 무더기로 돋아난다 한들 
    누가 그것을 개망초꽃이라 부르겠는가.
그럼, 그것도 사랑이지. 사랑이라고 ‘로미오와 쥴리엣’뿐이겠는가.
양문규의 시.
    우리는 왜 별들을 헤아려 
    사랑이라 노래하지 못하고 사는 걸까
    오늘밤도 그 핏기 없는 살덩이를
    별빛 속에 사르지 못하고
    죄인처럼 고개만 떨구고 사는 걸까
    하늘 한번 떳떳하게 
    우러러보지 못하고 사는 걸까
    시궁창보다도 더 어둡고 
    암울한 이 땅 속에
    살과 뼈를 묻고
    거친 비바람 헤치며
    억만년 꽃을 피우고 지우며,
    또 그렇게 우리는
    그대들의 꿈과 희망
    고뇌와 실의 속에서도 
    더불어 함께 살아온 이 땅의 
    참 눈물이면서도 
    우리는 왜 별들을 헤아려
    사랑이라 노래하지 못하고 사는 걸까
 
오래 간 만에 한국을 다녀오고서는 다들 그런다.  
“정말 잘 살더라.”  (어디 다 잘 살겠는가.)  
예전에 미국 올 때는 선망의 눈총이 등에 꽂힘을 느끼며 떠났겠는데, 
이제 한국에 돌아가 보면 “그래, 고생 많이 한다지?”라는 시선을 느낀다고.
아까 그랬지? ‘싫고, 좋고’가 아니고, 너, 나 도리 없이 한 통속,
빈들에 틈새를 찾아 제 자린 줄 알고 피는 개망초, 우리 사랑할래?
 
이하 장석우 시에서 잘라냈다.
    남들이 모두 직선으로 앞질러가
    높은 곳에 눈빛을 심어 두고는
    거기에만 물을 주고 있을 때
    낮은 도랑가를 서성이며
    꽃잎을 여는 사람들이 있다 
    깊고 높은 산 속이거나
    잘 가꿔진 논밭이거나
    화사한 꽃밭에도 한 번
    들지 못하고, 거친 언저리에서 묵묵히
    바람 앞에 꽃잎 흔드는 사람들이 있다 
    (.....)
    우리가 걸어가는 이 길이, 그래도
    적적하지만은 않은 것은
    우리들 중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낮은 목소리로 그렇게
    피고 지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낮은 목소리로!
"그가 다투지도 아니하며 들레지도 아니하리니 아무도 길에서 그 소리를 듣지 못하리라" (마 12:19). 

* “우리 모여 삽시다” 하고서 몇이 모였더랬지. 거의 흩어졌지만.
떠난 이들 용서하고, 남은 이들 사랑하고.
그래, 참는 게 아니고 사랑하는 거야.